-
다시 시작여러가지 2025. 1. 9. 08:58
오랜만에 '글쓰기' 버튼을 눌렀다. 마지막 글을 올린 게 23년 12월 12일이니 1년도 더 넘었다. 그 시간 동안 다시 글쓰기를 해 보겠다는 마음은 늘 머릿속 한편에 자리 잡고 있었다. 자려고 누운 자리에서 뒤척이며 머릿속에서 글을 긁적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미루기만 했다. '글을 써서 무얼하나'라는 회의론이 발목, 아니 손목을 잡고, 알 수 없는 무기력이 스며든 것도 한몫했다. 기록을 남긴다는 것이 부질없이 느껴지기도 했다. 남겨놓은 글을 다시 읽어 보는 일은 지난 시절 인화한 사진을 가득 꽂아놓은 앨범을 들추는 일만큼 드물었다. 그나마 가볍게 하던 인스타그램도 마찬가지의 이유로 몇 달 동안 손을 놓기도 했다. 그러다 구체적인 것과 그렇지 못한 몇몇이 이를 맞추며 동기부여의 틀..
-
[노묘일기] 오랜만에 병원고양이/쿠키와지니 2023. 12. 12. 17:39
일기라는 말이 무색하게 너무 띄엄띄엄 남기는 기록. 마지막 글이 올해 1월에 쓴 것이었다. 무소식이 희소식이라는 말처럼 그 사이 드디어 스무 살이 된 것 외에는 별다른 일 없이 평온한 일상이었다. 그러다 다시 병원을 찾는 일이 생겼다. 20세 7개월이 되어갈 무렵이다. 2023년 12월 7일 목겨울 같지 않은 포근한 오후, 여느 때처럼 궁디팡팡을 해 주다 엉덩이를 보게 되었는데, 항문 주변 털 끝에 옅은 선홍색으로 물들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래서 털을 헤집고 살펴보니 항문 왼편에 조그맣게 털 없이 피부가 상한 부분이 있었다. 놀란 마음 다잡고 급히 병원으로 향했다. 수의사 선생님의 말씀으로는 늙으면서 살이 많이 빠지다 보니 뼈(치골)가 바닥에 닿을 때 잘 긁혀서 피부가 헌 것 같다는 거였다. 그런데..
-
동원참치 마이플랜트여러가지 2023. 11. 15. 08:49
육고기를 대체하는 식물성 제품은 제법 사 먹어봤는데 참치는 처음이다. 기사를 찾아보니 올해 3월에 출시했다고 한다. 시골에 살다 보니 이런 수요가 적은 제품을 발 빠르게 접하는 건 쉽지가 않다. 어떤 맛일까 궁금해 하며 열어봤다. 일단 생김새는 기존의 참치와 비슷하게 잘 구현한 것 같았다. 먹기 전에 향을 맡아봤는데 조금 불안한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맛보았는데 악... 미간이 찌푸려졌다. 내 입맛에는 많이 맞지 않았다. 식감도 향도 맛도 모두 다 별로였다. 참치를 대체하는 제품이라 해서 꼭 참치와 매우 유사한 맛을 기대했던 건 아니었다. 참치가 연상되지 맛은 아니라 할지라도 그 자체로 맛이 있다면 만족스럽게 먹었을텐데 그렇지 못했다. 사람마다 입맛이 다르므로 맛있게 먹은 사람도 있을 테고 다른 ..
-
[노묘일기] 토요일 밤, 갑작스런 상처고양이/쿠키와지니 2023. 1. 8. 10:09
2003년생 할머니 고양이 지니. 어느새 19살이 되고 그리고 또 반년이 지났다. 나이가 무색할 만큼의 정정함에 하루하루 탄복하고 감사해하며 지내고 있다. 그런데 너무 평화롭기만은 할 수 없는 게 인생이고 묘생이니 마음고생, 몸 고생을 한번 겪게 되었다. 2023년 11월26일 토요일 전날 오른쪽 눈 위에 뾰루지 같은 것이 난 걸 발견했다.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고 자연스레 가라앉길 기다려보기로 했다. 그런데 저녁 식사 준비하다 그 부분이 빨갛게 변해 있는 걸 발견했다. 놀라서 가까이 가 살펴보니 상처가 크게 났고 피가 배어 나와 있었다. 아마도 그 뾰루지가 터진 것 같았다. 발로 얼굴을 긁는데 발톱에 걸린 걸까? 일단 상처를 더이상 긁지 않도록 넥카라를 둘러야 했다. 예전에 쓰던 걸 찾았지만 발견하지..
-
제주 재활용품 보상제, 재활용도움센터제주/생활 2021. 1. 17. 03:32
재활용품을 종량제봉투로 보상해드립니다- 재활용도움센터에서 폐건전지, 종이팩, 캔, 투명 페트병 종량제봉투로 교환 -제주특별자치도는 생활에서 ...blog.naver.com제주도에서 올해부터 폐건전지, 종이팩, 캔, 투명 페트병을 종량제 봉투로 교환해 주는 '재활용 가능 자원 회수 보상제'를 시작한다고 한다. 1kg 당 10리터 종량제 봉투 1장으로 교환해 준단다. 이걸 하려면 재활용도움센터라는 곳으로 가야 한다. 재활용도움센터라는 곳이 생긴 건 진작에 알고 있었다. 하지만 가 본 적은 없다. 집 근처에는 없기 때문이다. 한경면 여기 저기 다니면서도 재활용도움센터는 본 적이 없는데 내가 잘 안 다니는 곳에 있는 걸까? 궁금해하며 찾아보았다. 아, 그런데 정말 없다. 한경면에는 재활용도움센터가 하나도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