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 농가주택 리모델링 11] 목공과 미장 그리고 선택제주/생활 2011. 12. 13. 00:41
1 1 . 1 1 . 2 6 . 토 ~ 1 1 . 3 0 . 화 창문 없이 벽이 훌훌 뚫여 있어, 귀신만 없지 밖에서 보면 꼭 폐가 느낌 나던 집에 창문이 달렸다. 창문이 달리면서 본채 내부 목공 작업도 거의 마무리를 지어, 들어가면 집다운 면모가 느껴진다. 방문만 달리면 침낭 깔고 자도 될 것 같다. 마음은 한참 앞질러 가고 있다. 그런 마음을 앞질러 목수 아저씨와 도우미 아주머니는 이제 창고를 드나드신다. 돌과 콘크리트, 그리고 철기둥의 차가운 조합에 나무가 하나씩 붙여지며 온기가 스며들기 시작한다. 미장팀이 다시 방문했다. 아직 가야할 길이 멀지만 철거 직전 분위기를 연출하던 본채 외관은 한결 매끈해졌다. 벽돌을 쌓아 구분해 놓기만 한 화장실과 보일러실에도 콘크리트가 발라져 좀 더 모양새를 다졌다...
-
[제주도 농가주택 리모델링 10] 목공과 전기제주/생활 2011. 11. 28. 02:15
1 1 . 1 1 . 2 1 . 월 ~ 2 5 . 금 드디어 목공 작업이 시작되었다. 에어타카, 대패, 망치, 톱 등의 관련 장비가 들어왔고 합판, 각목 등 다양한 모양과 재질의 목재가 줄줄이 들어왔다. 하루 이틀만에 끝날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았지만 5일간의 작업으로도 충분하지 못했다. 앞으로 몇일 더 필요할 듯 하다. 새로 짓는 것이 아닌 기존의 틀에서 맞춰 나가야해 손이 더 많이 가는데다 작은 부분도 소홀하지 않고 공을 쏟느라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그래도 목공 작업이 진행되면서 본채 내부에서는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벽지가 갈기갈기 찢어져 흉하게 남았던 벽과 콘크리트 벽돌이 거칠게 노출된 벽들이 사라졌다. 수직과 수평이 맞지 않았던 공간에 제대로 된 천장과 벽이 들어섰다. 아직 도배 장판도..
-
[제주도 농가주택 리모델링 9] 비와 콘크리트제주/생활 2011. 11. 23. 00:03
그냥 싹 밀어버리고 조립식 판넬로 새로 지으면 돈도 적게 들고 금방 지을텐데... 오며 가며 한 마디씩 던져 놓고 가시는 동네 하르방, 할망(할아버지, 할머니)들의 애정 어린 걱정 속에 공사는 꿋꿋하게 진행되고 있다. 1 1 . 1 1 . 1 7 . 목 ~ 1 1 . 1 9 . 토 늦가을에 때 아닌 3일 연속 비 예보가 떨어졌다. 하필 미장과 방통(방바닥 통미장) 등 시멘트를 발라야 하는 작업이 예정되어 있었다. 17일, 일기예보가 빗나가기를 바라며 벽 미장이 시작되었지만 이내 비가 흩뿌리기 시작했고 점심을 지나면서는 작업이 불가능할 정도에 이르렀다. 결국 미장팀 철수. 18일, 새벽에 엄청난 비가 쏟아졌다. 호우경보까지 떨어졌다. 뒤늦게 알았지만 집에서 멀지 않은 협재, 한림에는 물이 들어찬 집도 있었..
-
[제주도 농가주택 리모델링 8] 창고 안팎 속시원히 정리, 그리고.제주/생활 2011. 11. 17. 23:33
1 1 . 1 1 . 1 0 . 목 ~ 1 1 . 1 1 . 1 6 . 수 마지막 일지를 쓴 후 다시 일주일이 흘렀다. 아직 색조화장이 아닌 기초화장이다 보니 분명 화장은 계속 하고 있지만 감탄을 자아내는 이쁜 변화는 없다. 하지만 조근조근 변화는 이어지고 있다. 본채에 이어 돌창고에도 벽돌쌓기가 이어졌다. 새로운 벽을 만들어야 하는 곳, 창틀과 출입문이 들어서야 하는 곳, 모두 벽돌이 동원되었다. 다섯 파레트, 엄청난 양의 벽돌이 들어왔을 때만 해도 저걸 어디에 다 쓰나 했는데, 네 파레트 가까이가 사라졌다. 거친 제주 현무암의 울퉁불퉁한 선에 네모 반듯한 벽돌의 직선이 가미되었다. 모든 화장이 끝났을 때 절묘한 조화를 이뤄내 주길 바라는 마음도 긴 선이 되어 계속 이어진다. 처음 창고 속을 들여다 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