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 농가주택 리모델링 12] 정화조와 함께 시작한 12월제주/생활 2011. 12. 16. 09:00
1 1 . 1 2 . 0 1 . 목 한라산에 한창 단풍 불이 번져가던 10월, 그 10월의 끄트머리에 시작한 시골집 고치기 공사가 12월을 맞았다. 12월의 첫 날은 정신없이 시작되었고 공사 시작 후 가장 시끄럽고도 분주하게 흘러갔다. 무려 4개팀이 그 작은 공간 곳곳에서 맡은 바 임무를 수행했다. 정화조를 묻어야했다. 오수관이 깔린 동네에는 설치할 필요가 없는 정화조. 안타깝게도 이 동네에는 오수관이 들어와 있지 않았다. 더 더욱 안타까운 사실은 2013년 완공 예정의 오수관 설치공사가 진행중이라는 것. 한 1년 몇개월 더 일찍 오수관이 깔리기만 했어도 이 난리부르스를 떨지 않아도 되었을텐데... 하루 내내 오수관과의 빗나간 운명을 아쉬워했다. 아침 일찍 굴삭기가 들어왔다. 정화조를 묻을 자리에 힘차게..
-
[제주도 농가주택 리모델링 8] 창고 안팎 속시원히 정리, 그리고.제주/생활 2011. 11. 17. 23:33
1 1 . 1 1 . 1 0 . 목 ~ 1 1 . 1 1 . 1 6 . 수 마지막 일지를 쓴 후 다시 일주일이 흘렀다. 아직 색조화장이 아닌 기초화장이다 보니 분명 화장은 계속 하고 있지만 감탄을 자아내는 이쁜 변화는 없다. 하지만 조근조근 변화는 이어지고 있다. 본채에 이어 돌창고에도 벽돌쌓기가 이어졌다. 새로운 벽을 만들어야 하는 곳, 창틀과 출입문이 들어서야 하는 곳, 모두 벽돌이 동원되었다. 다섯 파레트, 엄청난 양의 벽돌이 들어왔을 때만 해도 저걸 어디에 다 쓰나 했는데, 네 파레트 가까이가 사라졌다. 거친 제주 현무암의 울퉁불퉁한 선에 네모 반듯한 벽돌의 직선이 가미되었다. 모든 화장이 끝났을 때 절묘한 조화를 이뤄내 주길 바라는 마음도 긴 선이 되어 계속 이어진다. 처음 창고 속을 들여다 봤..